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원코스(국내여행)356

캠퍼스투어048 부산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돌아와요 부산항에♬ 조용필이 노래한 한반도 동남부 부산(釜山, Busan)은 면적 769.89㎢, 인구 340만(2020)으로 서울에 이은 ‘대한민국 제2의 도시’입니다. 서울공화국이라 불릴 정도로 쏠림현상이 심한 대한민국이지만, 부산은 ‘국내 최대 국제무역항’을 보유한 항구도시로써 ‘대한민국 최초의 직할시’이자 ‘대한민국 최초의 광역시’란 존재감을 과시합니다. 대학교의 역사를 놓고 보자면 6·25전쟁 당시 ‘대한민국의 임시정부’로써 전국의 교육기관이 부산에서 임시개교한 바 있으며, 광복을 전후해 수많은 대학이 싹을 틔우며 인재를 육성한 도시이기도 합니다. 문교부 설립인가일을 기준으로 1946년 5월 15일 설치된 부산대는 이대, 연희대(現 연세대), 고려대는 물론 서울대(1946년 8월 22일)보다도 .. 2020. 12. 22.
캠퍼스투어047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부산외국어대학교(釜山外國語大學校, Busan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은 교명(校名)에서 보듯 서울 한국외대와 함께 ‘외국어에 특성화된 교육기관’으로 1981년 개교 당시 10개의 학과(영어과, 불어과, 독일어과, 일본어과, 중국어과, 태국어과, 말레이·인도네시아어과, 경영학과, 무역학과, 회계학과)로 출범하였으며, 지속적으로 다양한 학과를 추가로 개설하였습니다. 사립대이자 종합대로써 어문계열의 영일중대학(영어학부, 일본어창의융합학부, 중국학부, G2융합학부)와 글로벌인문융합대학(유럽학부, 유럽지역통상학과, 중남미학부, 러시아·터키중앙아시아학부, 동남아창의융합학부, 아랍지역학과, 인도학부, 한국어문화학부, 파이데이아창의인재학과, 역사관광·외교학부) 뿐 아니라 글로벌비즈니스대학.. 2020. 12. 22.
캠퍼스투어046 부산대학교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부산대와 부경대 모두 ‘부산을 대표하는 국립대이자 종합대’입니다만, 후발주자인 부산대가 부산(釜山)이란 교명을 차지한 덕분에 ‘부산을 대표하는 거점국립대’로써 인식됩니다. 전국 각지에 통합한 대학은 적지 않으나, 부산대와 부경대처럼 통합했다가 재분리해 각자의 길을 가는 국립대학교는 그리 흔치 않습니다. 숭실대와 한남대가 숭전대로 통합했다가 분리된 바 있으나 국립대는 아니지요. 부산대는 부산시 금정구의 메인 캠퍼스를 중심으로 서구 아미동의 아미캠퍼스(부산대병원, 권역외상센터, 건강증진센터, 의생명연구원), 부산 밖의 경남 밀양시 밀양캠퍼스(나노바이오캠퍼스, 舊 밀양대학교), 경남 양산시 양산캠퍼스(의생명과학캠퍼스)까지 총 4곳의 캠퍼스가 있습니다. 기능적으로 분리가 되어 있기 때문에 본교·분교가 아닌 이원.. 2020. 12. 22.
캠퍼스투어045 부경대학교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부경대는 1924년 설립된 부산공립공업보습학교를 모태로 하는 국립 부산공업대학교(1993)와 1941년 일제 강점기 설립된 관립 부산고등수산학교(釜山高等水産学校)를 모태로 하는 국립부산수산대학(1946)이 1966년 통합해 탄생한 ‘부산의 국립종합대학교’입니다. 부산고등수산학교는 일제 강점기 ‘부산 최초의 국립대이자, 유일한 고등교육기관(1941)’으로 부산대보다 더 긴~ 역사를 자랑합니다. 부산대와 부경대 모두 ‘부산을 대표하는 국립대이자 종합대’이지만, 부산대가 ‘부산을 대표하는 거점국립대’로써 잘 알려진 반면 부경대는 ‘부산 최초의 국립대학교’란 자부심은 있으나 부산이란 지명은 차지하지 못했습니다. 그러나, 부산이라는 해양도시와 수산대학이란 특성학문을 감안한다면, 부경대가 더 ‘부산스러운 대학교’가.. 2020. 12.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