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원코스(국내여행)356

캠퍼스투어056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교육부가 아니라, 고용노동부(舊 노동부)가 전액 출연한 고용노동부 산하의 기타공공기관이자 4년제 대학교입니다만, 국립이 아닌 사립대학교로 분류됩니다. 아니, 정부 기관이 세운 대학교가 왜 국립이 아니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관할하는 카이스트나 문화재청 산하의 특수교육기관인 한국전통문화학교가 국립인 것과 비교하면 의아합니다만, 하여간 법적으론 사립대입니다. 그러나, 기술인재를 양성한다는 설립목표, 국립대에 준할만한 폭넓은 장학금 혜택과 높은 기숙사 수용률 등을 감안하면 학생들이 체감하는 학교는 여느 국립대와 다를 바 없습니다. 교명에 교육(Education)이 포함된 ‘교육대학교’이지만, 초등학교 선생님이 되고 싶어서 한기대를 지원하시는 분은 없으실 겁니다. 한국기술교육대학교는 초등.. 2020. 12. 22.
캠퍼스투어055 포스텍 & 카이스트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대한민국 대표 공대전쟁! 포카전·카포전 : 2002년 시작한 포스텍(포항공대)과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간의 라이벌리 포카전·카포전! 2019년까지 종합 전적은 카이스트 9, 포스텍 8로 비등비등하지만 카이스트가 1승 앞서고 있습니다. 여느 라이벌리와 마찬가지로 축구, 야구, 농구 등의 스포츠도 포함되어 있으나 과학퀴즈, 해킹, 인공지능 프로그래밍, 그리고 리그 오브 레전드(LOL)가 정식 경기 종목이라는 것이 타대학의 라이벌리와 다른 특징입니다. 온라인게임의 경우 2012년까지 한국인의 국민화투(?!) 스타크래프트2가 포함되어 있었으나, 2013년부터 리그 오브 레전드(LOL)만 치룹니다. 연도에 따라 다르지만 7경기 혹은 9경기 홀수로 치루며, 실내 경기가 많아서 인지 연고전·고연전의 5경기보다 많네.. 2020. 12. 22.
캠퍼스투어054 포항공과대학교(포스텍)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서울하면 서울대, 부산하면 부산대, 그럼 포항은? 자연스럽게 포항‘공’대가 떠오르실 겁니다. 공교롭게 포항시에 포항대학교(전문대학)가 있습니다만, 포항의 ‘공대’는 포항대 공대가 아닙니다. 포항공대 영문명은 개교 당시 Pohang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PIST)였으나, 현재는 POhang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일명 포스텍(POSTECH)입니다. 영문 교명은 국문 교명에 비해 과학(Science)과 기술(TECHnology)을 아우른다는 점에서 범위가 더 넓다는 차이가 있습니다. 포항공대는 분명 포스텍(포항제철)이 설립한 ‘사립대학교’입니다만, 포항제철이 ‘대일 청구권 자금을 바탕으로 설립된 국영기업’이였다는 점을 감.. 2020. 12. 22.
캠퍼스투어053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카이스트(KAIST)는 1971년 설립된 한국과학원(KAIS)을 모태로 성격이 상이한 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1966)와 한국과학기술대학(KIT)(1984)은 물론 심지어 사립대학교인 한국정보통신대학교(韓國情報通信大學校,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University, ICU)(2002)와 통합한 매우 특이한 역사를 지니고 있습니다. ‘과학도시 대전’을 대표하는 교육기관으로 대덕 캠퍼스를 중심으로 대전 문지 캠퍼스와 서울의 홍릉 캠퍼스(舊 홍릉과학기술연구단지, 경영대학, 고등과학원), 도곡 캠퍼스 총 4곳의 멀티 캠퍼스 체재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전 문지 캠퍼스는 카이스트와 2009년 통합한 한국정보통신대학교(韓國情報通信大學校, Information and Commun.. 2020. 12.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