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원코스(국내여행)

캠퍼스투어01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지식의 전당을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by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2020. 12. 21.
반응형

 

 

서울과기대는 1909년 순종황제의 실업학교령(칙령 제56)으로 설치되었으며, 당시 교명을 공립어의동실업보습학교이라고 한 이유는 조선 정부 소유인 서울 종로구 어의궁(於義宮) ( 효제동)에 학교를 건설했기 때문입니다. 임금의 명으로 설치한 학교니 개교부터 국립학교였던 셈이죠. 서울과기대는 1910 4 15일 공립어의동실업보습학교을 모태로 하는 종합대로 세월의 흐름과 함께 경성공립직업학교(1931), 경기공립공업학교(1944), 경기공업고등학교(1953), 경기공업고등전문학교(1963), 경기공업전문학교(1974), 경기공업전문대학(1979), 경기공업개방대학(1982), 서울산업대학(1988), 서울산업대학교(1993) 등 변화에 변화를 거듭해 왔습니다. 90년대 학번이라면 서울산업대로 기억하시는 분들도 있으실텐데요, 10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는 산업대학을 거쳐, 비교적 최근인 2012년 현재의 종합대학 서울과학기술대학교로 개명한 새내기이기도 합니다. 서울과기대 외에도 칙령 제56호에 의해 설치된 경남과학기술대학교(1910, 공립진주실업학교), 전남대학교(1917, 광주농업학교), 한국교통대학교(1905, 철도이원양성소) 등은 현재까지 지역사회를 위한 인재양성에 공헌하고 있습니다. 마여행신문 TTN Korea 캠퍼스투어(Campus Tour)와 함께 어제도, 오늘도, 내일도 멋진 진리여행을! B

 

다빈치관·신다빈치관(39), 미술관(2F) : 다빈치관은 다산관과 창학관( 전기전자관)(등록문화재 12), 대륙관(등록문화재 제369)과 달리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지 못한 덕에(?!) 허물고 새롭게 지은 것으로 2012년 완공된 신상입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부터 있었던 오랜 건축물인 덕에 유난히 괴담이 많은 건물이기도 합니다. 신다빈치관은 237억을 투자해 조형대 학생들의 수업을 모두 들을 수 있도록 통합한 최첨단 건물로 스튜디오식 교육이 가능합니다. 다빈치관에 비해 5배 넓어진 작업공간은 물론 화약약품 유독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환기시스템, 야간작업이 많은 과 특성상 마련된 샤워실, 작업도구가 많은 학생들을 위한 사물함 등으로 인해 한층 더 학업에 열중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습니다. 다빈치관 2층은 조형대 학생들의 작품 전시장을 겸한 미술관으로 활용 중입니다.

 

다산관(2) & 창학관(3)(등록문화재 제12) : 두 건물은 일제강점기 수용소, 경성제대와 서울대 공과대(이학대) 부지로 활용된 서울과기대의 시작이자, 서울과기대 로고에 등장하는 서울과기대의 랜드마크입니다. 등록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된 대한민국 근대문화유산이기 때문에 원본에 가까운 외관을 유지하며 리모델링하기 위해 오히려 신규 건축보다 많은 비용이 투입됐다네요. 두 건물 모두 직사각형의 외벽 중앙이 텅 빈 중정을 갖추고 있습니다. 영화 S 다이어리(2004) 촬영지! 다산관에는 한국전쟁 당시 총탄 자국이 아직까지도 선명하게 남아 있습니다. 현재 철거된 시계탑은 수동식이라 전담 직원이 돌려줘야 하는데, 그 분이 은퇴하시면서 더 이상 운영할 수 없어서 철거했다는 카더라가...

 

서울대와 서울과기대의 연결고리?! : 노원구 공릉동은 경성제국대학과, 서울대 공과대학이 활용했던 부지입니다. 서울과기대 캠퍼스에서 일제강점기의 근대건축물을 만날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죠! 이 때문에 당시의 풍경을 배경으로 하는 드라마, 영화 촬영지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다산관과 창학관은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 본관으로, 대륙관은 경성광산전문학교에 이어 경성제국대학 이공학부가, 다시 서울대 공과대학이 사용했습니다. 각각 등록문화재 제12호와 369호로 지정되었으며, 다빈치관은 등록문화재 지정이 되지 않아 헐고 신다빈치관을 건립하였습니다. 이미 2곳의 학교가 거쳐 갔을 정도로 대학교 캠퍼스로는 최적의 입지, 면적, 녹지 등을 자랑합니다. 캠퍼스 면적 52로 일감호를 포함한 건국대 서울캠퍼스보다 약간 큽니다. 무엇보다 캠퍼스 전체가 평지이며, 녹지가 풍부해 서울과기대공원이라고 불러도 손색이 없습니다! 사시사철 물이 흐르는 어의천(如意川공대천(工大川)은 기본!

 

웹툰 치즈인더트랩(2010~2019) & 드라마 tvN 치즈인더트랩(2016) : 평범한 여대생 홍설이 대학교에 입학한 새내기부터 휴학 후 복학하며 주변 사람들과 어우러지는 캠퍼스라이프를 그린 네이버 웹툰 치즈인더트랩은 큰 인기를 누리며 드라마로 제작, 2016 tvN에서 방영되었습니다. 건대 출신의 원작자 순끼는 작품 곳곳에 모교를 그려 넣었는데요, 이에 반해 드라마는 서울과학기술대에서 주요 장면을 촬영하였습니다. 건국대와 서울과기대, 두 캠퍼스로 치즈인더트랩, 아니 치인트 투어를 떠나보시는 건 어떨까요?

 

 

 

-목차(Index)-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캠퍼스투어(Campus Tour) 시리즈 5가지 약속

입학식(Entrance Ceremony) : 캠퍼스 가기 전에 대학교 가지 마라!

E1. 당캠가 프로젝트의 4가지 기획의도

E2. 캠퍼스투어러를 위한 4가지 꿀팁

E3. 당신의 캠퍼스를 가지는 5가지 방법

오리엔테이션(Orientation) : 대한민국 대학문화해설(大學文化解說)

01. 전국 대학교 대학슬로건·대학표어 헤쳐모엿!(187)

02. 대학교 상징동물의 5가지 비밀(135)

03.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로운 교명(校名)사전(61)

04. 우린 OOO 보유국, 아니 보유대!(111)

05. 한판 붙어볼까, 애송이? 대학교 라이벌리(College Rivalry)(26)

06. 캠퍼스 이색기록 헤쳐 모여!(41)

07. 캠퍼스 문학기행·예술기행(09)

08. 드라마·영화 촬영지 in 캠퍼스(15)

09. 캠퍼스 인증샷? 인생샷!(86)

10. 캠퍼스 박물관투어(123)

11. 지하철로 떠나는 전국구 캠퍼스투어(247)

개강(Opening) : 서울과학기술대학교(서울科學技術大學校)

01. 교명(校名)

02. 상징(Symbols)

03. 동문(同門)

04. 캠퍼스투어(Campus Tour)

05. 함께 둘러보기 좋은 명소

현장학습(Field Trip). 서울과학기술대학교(서울科學技術大學校) 캠퍼스투어(Campus Tour)

01. 정문(正門)(13)

02. 어의천(如意川공대천(工大川)

03. 100주년기념관(51)

04. 해태상(獬豸像)

05. 대륙관(56)(등록문화재 제369) & 축구장(63)

06. 대학본부(1) & 서울과학기술대학교역사관

07. 오르막길

08. 청운관(6)

09. 서울테크노파크(7), 학생식당, 쉼터

10. 서울과기대 역사탑

11. 다빈치관·신다빈치관(39), 선비귀신, 미술관(2F)

12. 어학원(38) & 어의관(40)

13. 성림학사(43), 카페 플라타너스, 탁구장

14. 붕어방(11)

15. 파워플랜트(10)

16. 다산관(2) & 창학관(3)(등록문화재 제12)

17. 향학로 귀신나무

18. 프론티어관(32)

19. 하이테크관(33) & 구름다리

20. 중앙도서관·정보전산원(34)

21. 수연관(36)

22. 로봇동아리 THOT

졸업논문(Graduation Thesis) : 서울과학기술대학교(서울科學技術大學校) 대학문화해설(大學文化解說)

01. 서울과기대의 과거는 무죄!

02. 서울과기대는 서울 소재 유일한 종합국립대?!

03. 서울대와 서울과기대의 연결고리?!

04. SNUT? Seoultech!

05. 웹툰 치즈인더트랩(2010~2019) & 드라마 tvN 치즈인더트랩(2016)

졸업식(Graduation Ceremony) : 이제 당신의 캠퍼스로 떠나라!

G1. Thanks to 대학생 홍보대사 연합회(ASA-K)

G2. 전국의 대학교 홍보대사와 함께(2009~2012)

조명화 편집장의 국내일주(Korea Round Travel) & 세계일주(World Round Travel)(049)

캠퍼스투어(Campus Tour) 도서목록(088)

테마여행신문 TTN Korea 도서목록(853)

 

 

 

 

반응형